top of page

​작업동기

Patterns of Buddhism painting

Diagram of Seolhwagumun

 
한국 전통의 모티프를 응용한 디자인이 우리의 문화를 알리고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콘텐츠로서의 역할로 요구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문화의 우수성을 대표하는 고려 불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일은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고려불화는 한국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달하였고, 불화에 표현된 문양은 무한한 에너지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부처를 바라보는 관불(觀佛), 관상(觀相)은 예부터 해탈을 얻기 위해 행하는 전통 수행법 중 하나라고 합니다. 이처럼 고려불화에 표현된 섬세하고도 힘있는 색과 문양들은 경전으로서 전달하지 못하는 에너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고려불화의 수월관음도에서 보이는 '설화구문(雪花球紋)'을 주된 모티프로 삼아, 기본 단위들이 이어지고, 또 하나의 단위, 우주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패턴과 질감으로서 원단위에 표현하는 것이 저의 작업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문양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설화구문과 섬유의 표현방법과의 연결성을 찾고, 다양한 기법을 응용하여 작업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 과정을 통해 설화구문의 선적요소를 모티프로 다양한 구성을 제시함으로서 한국 전통 문양의 현대적 해석을 시도합니다. 그리고 습득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한국 전통 문양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Goryeo buddhism painting, Kagami Jinja

Consortium Cooperative

La Filature - Avenue de la plage - 86240 - Ligugé - France

© 2023 by Life Socks.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